닫기

블로그 홈

All

홈페이지

티스토리 뷰

직장인을 대상으로 <인생 토크>라는 주제로 강의를 할 때 꼭 짚고 넘어가는 게 있습니다. 바로 <100> 이란 숫자입니다. 여기서 <100>이란 100년 인생을 말합니다. 인생은 마라톤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마라톤 선수들은 42.195km를 달릴 때 그냥 달리지 않습니다. 10km 구간, 20km 구간, 반환점을 돌아서 오는 30km구간, 35km구간, 결승선까지 구간별 전략과 전술을 갖고 달립니다. 근데 일반적인 직장인이라면 전략없이  <100년>이란 긴  인생 터널을 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응전략이나 전술이 있어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다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못한 게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전략과 전술이 필요할까요? 저는 사람들에게 <트리플 30>을 구성하라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트리플 30> 이란 <30-30-30> 을 말합니다. 이 이야기는 인생을 세 가지 구간별로 나누어 달리자는 이야기입니다. 

 

First 30, 배우는 시기
이때는 사회로 나가기 위해 나름의 전략을 갖고 가는 때입니다. 그러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배움, 즉 공부입니다. 일반적으로 학창시절이 여기에 해당되지요. 이 시기에서 가장 필요한 전략은 바로 <진도>입니다. 자신의 실력과 수준에 맞춰 진도를 짜고 배움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다보니 전략이나 전술을 쓰지 못한 이들은 경기 도중 포기라든가 아니면 자연스럽게 레이스에서 도태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인생이 망가지는 건 아닙니다. 패자 부활전이 있기 때문이지요. 다만 본선에서 진 사람이 패자부활전을 통해 결승전에 오르는 길은 만만치 않다는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Second 30, 경제적 활동기 
이 시기의 포인트는 취업(就業), 돈을 버는 시기입니다. 직장과 가정을 꾸리고, 자동차나 부동산 등 큰 금액의 지출을 하기도 하는 등 경제적인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 이 구간에서 쓰는 전략은 <속도>입니다. 이 <속도>를 내기 위한 연료는 <누구보다>입니다. 남들보다 부지런하거나, 직장에서 더 빨리 승진하거나, 사업적 수완을 발휘한다던가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대개 이 시기는 30년 동안 지속됩니다. 여러분이 주목해야 할 것은 이 시기가 뒤에 다가오는 Third 30을 결정지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대다수 직장인들이 이 점을 모르거나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두에 말한 트리플 <30>이란 것을 쉽게 설명하면 하나의 <30>은 또 다른 <30>을 낳고, 그 <30>은 마지막 <30>을 낳는다는 것입니다. 결국 인생은 연장선에서 이루어지는 셈입니다.

 

Third 30, 자신만의 인생살기
본업(本業)입니다. 이 시기는 앞서 벌어 놓은 경제적 자산으로 소비하면서 자신만의 인생을 <살아가는 시기>입니다. 어떻게 보면 지금까지 달려론 인생 마라톤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구간에 필요한 전략은 바로 <밀도>입니다. 이 구간에서 진도나 속도를 들먹이며 들이대면 결승점을 앞에 뒤고 오버페이스로 뒤쳐지기 마련입니다. 이 시기는 얼마나 나의 삶을 밀도 있게 살아갈 것인가. 즉, 어떤 의미를  갖고 삶을 마감할 것이냐입니다. 최근에 들어 웰 다잉이란 것과 엔딩 노트 등의 코드가 나오는 것도 다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그렇다면 <트리플 30>이란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까요? 저는 이미 지나가 버린 <첫 번째 30>은 잊어버리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다가올 <세 번째 30>은 조금만 밀어 놓으세요. 그리고 여력이 있다면 이젠 <두 번째 30> 즉  당신이 달리고 있는 그 구간을 조목모곡 따져보셨으면 합니다. 그렇다면 당신이 달리고 있는 두 번째의 무대는 어디에 있을까요?  바로 당신이 근무하고 있는 일터나 회사입니다. 앞서 언급한 <하나의 <30>은 또 다른 <30>을 낳고, 그 <30>은 마지막 <30>을 낳는다.>는 것을 인지했으면 지금의 30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것입니다. 이 중요한 시기에 <당신의 로드맵을 재구성하라!> 라는 처방전을 드립니다.

첫째, 당신의 일을 사수하세요. 
이 무대에서는 원래 하고 있는 일을 꼭 붙잡고 그 일로 모든 것을 풀어 가고, 당신의 스토리를 구성해야 합니다. 이런 점은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저에게 일이란, 글 쓰고 강의를 하고 방송을 하는 것입니다. 저는 강의를 할 때 '강의장에서 강의하다 죽어도 좋다'는 마음으로 소중하게 진정성을 가지고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자세와 태도는 스포츠 선수나 연예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게 있다면 여러분이 그렇게 생각을 안 하고 행동으로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둘째, 자영업자처럼 납품하세요!
대기업에는 협력업체라는 게 있습니다. 그런데 협력업체가 공급 계약이나 서비스 계약을 하면 평생 그 관계를 유지하는 게 아닙니다. 일정 기간이 끝나면 어김없이 재계약을 해야하죠. 그럼 계약이 만료된 협력업체가 대기업으로부터 새로운 계약을 따내기 위해서는 어떤 자세로 준비를 할까요?

저 역시 한번 강의를 간 기업에 매번 가는 것은 아닙니다. 평가 기준에 맞게 평가를 받고 평가가 좋으면 가게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직장인들이나 공무원들은 그렇지 않는 것 같습니다. 늘 나가고 늘 하는 일이라서 자영업자처럼 긴장감 속에 출근하고 일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말하자면 매너리즘에 빠져 있는 것입니다. 이젠 직장은 종신 고용제가 아닙니다. 여러분도 자영업자처럼 일을 대해보시기 바랍니다. 

 

셋째, 일터를 존중하세요. 
여기서 일터라는 것은 회사를 말합니다. 일터는 당신에게 일을 주고 일은 당신에게 경제적 이익을 줍니다. 그 일터를 우습게  보지 마세요. 나이가 어린 분들은 이런 이야기가 이해가 안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지금 다니는 일터를 그만둔다고 해도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인력은 우리 사회에서 수없이 많습니다. 지금은 수요보다 공급이 넘쳐나는 세상입니다. 이런 세상에서 어린 아이처럼 반찬 투정을 하는 사람을 조직이 쓸 이유는 없습니다. '우는 아이 사탕 하나 더 준다'라는 말은 옛말인 셈이지요. 

 

오늘 소개한 <트리플 30> 인생의 길은 누구나 밟아가게 되는 과정입니다. 단지 얼마나 빠르고 쾌적하게 가느냐는 오롯히 여러분의 몫에 달려있습니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여정을 인생에 비교한다면, 어떤 이는 새마을호로 가고, 어떤 이는 KTX로 가고 , 어떤 이는 비행기로 가는 것과 같습니다. 그보다 더 성공한 사람은 전용 헬리콥터나 비행기로 갈 수도 있겠죠. 각기 가는 목적지는 같지만 여러분의 행동에 따라 가는 방식은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 이 콘텐츠의 모든 저작권은 휴비스 공식 블로그에 있습니다.

공유하기 링크

댓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