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홈
분류 전체보기
(568)
휴비스 talk
(72)
휴비스는 지금
(63)
희망키움 프로젝트
(9)
휴비스 people
(101)
휴비스人 되기
(57)
휴비스人 탐구
(44)
소재 story
(101)
소재 속 과학
(69)
생활 속 휴비스
(32)
현대人 생활백서
(292)
생활人 편
(117)
직장人 편
(175)
All
홈페이지
검색하기 폼
검색하기
분류 전체보기
(568)
휴비스 talk
(72)
휴비스는 지금
(63)
희망키움 프로젝트
(9)
휴비스 people
(101)
휴비스人 되기
(57)
휴비스人 탐구
(44)
소재 story
(101)
소재 속 과학
(69)
생활 속 휴비스
(32)
현대人 생활백서
(292)
생활人 편
(117)
직장人 편
(175)
All
#직무 인터뷰
#소재&트렌드
홈페이지
#생활꿀팁
#에디터 추천글
뉴스레터 신청
고분자
(2건)
최신글
[워크스마트 캠페인] 기업들이 탐내는⋯
다시 맑은 하늘을 위해! 미세먼지 줄이⋯
[멘토의 비법] 글쓰기의 생산성을 높이⋯
[슬기로운 건강생활] 뇌출혈은 왜 생기⋯
나를 위해 알차게 채우는 하루! ‘갓생⋯
#직무 인터뷰
#소재&트렌드
#생활꿀팁
#에디터 추천글
홈페이지
뉴스레터 신청
hover
깨져도 다시 붙는 핸드폰 화면? 스스로 회복하는 자가치유 소재
핸드폰을 쓰다 보면 예기치 못한 순간에 액정이 깨지는 불상사가 발생하곤 하죠. 액정 수리비용이 만만치 않다 보니 액정이 깨짐과 동시에 멘탈도 지갑도 탈탈 털리게 되는데요. 그런데 만약 와장창 깨진 액정이 사람 피부처럼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저절로 회복된다면 어떨까요? 영화에서나 볼 법한 이러한 일들이 ‘자가치유 소재’의 개발을 통해 곧 우리의 현실이 될 수 있다고 해요. 그렇다면 알면 알수록 신기한 자가치유 소재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 ‘스스로 회복, 진짜 가능해?’ 자가치유 소재의 정의 및 자가치유 소재의 시작 ‘자가치유 소재’란 말 그대로 외부에 의해 가해진 손상이 자발적으로 치유되는 신소재를 뜻해요. 사람이나 생물이 상처가 생기면 저절로 치유가 되듯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소재 story/소재 속 과학
2021. 10. 5. 09:00
hover
[직무인터뷰] 아이템 개발꾼~ Bi-Component PJT 이윤정 대리
인류 최초의 섬유는 무엇일까요? 린넨이라고 하는 '마'라고 합니다. 왜냐면 섬유장이 길어서 실을 짜기가 쉽기 때문이죠. 인류가 최초로 개발한 인조섬유는 1891년 개발된 레이온이라고 하네요. 셀룰로스를 원료로 한 재생섬유라고도 하죠. 두번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급진전한 화학 기술과 장치 산업은 섬유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했답니다.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터로 전체 섬유 사용량의 60%를 육박하죠. 이렇듯 인류의 발전과 섬유는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답니다. 섬유는 의복 문화에서 출발하였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의류나 실내 장식품의 한계를 넘어 고기능성 섬유 소재가 되고 있답니다. 물론 과학 기술의 발달이 바탕이 되었죠. 우주항공산업 분야도 사용되고 인..
휴비스 people/휴비스人 탐구
2018. 6. 15. 10:53
이전
1
다음
찾으시는 스토리가 없습니다.
+ 더보기
티스토리툴바
휴비스 Story
구독하기